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계층별 주요 프로토콜

by 원톄로 2023. 8. 29.

L1과 L2 프로토콜

1. 이더넷(Ethernet)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 근거리통신망(LAN)의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

    - 이더넷 규격에는 DIX 표준과 IEEE802.3이 있음

 

2. IEEE802.11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 무선 LAN 표준

 

L2와 L3 사이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는 MAC 주소와 IP 주소가 있다.

MAC 주소는 NIC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물리적인 주소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IP 주소는 OS 상에서 설정한 논리적인 주소이며,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 MAC 주소와 IP 주소 사이에서 ARP, RARP가 동작한다.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얻는 프로토콜

 

2.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MAC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얻는 프로토콜

 

L3 프로토콜

1. IP(Internet Protocol)

    - 패킷을 IP 주소에 따라 목적지에 전송하는 통신 규약

    - 호스트의 주소 지정,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 처리,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

    - IP 패킷 데이터 부분에 캡슐화되어 송신 호스트에게 전달

    - 오류 메시지 3가지

      1) Destination Unreachable: 수신지 도달 불가. 패킷을 수신지 주소 단말까지 라우팅하지 못했을 때 오류 알림.

      2) Redirect: 데이터 전송 경로 변경 메시지. 라우터가 최적 경로를 사용하지 않는 호스트 발견 시 대체 경로 알림.

      3) Time exceeded: 패킷의 TTL(Time To Live)이 '0'이 되어 파기했음을 송신지 단말에 알림.

 

L4 프로토콜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이 요구될 때 이용

 

2. UDP(User Datagram Protocol)

    - 실시간성이 요구될 때 이용

 

 

TCP와 UDP

1.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와 UD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TCP라고 하고, User Datagram Protocol를 UDP라고 한다. 두 프로토콜 모두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계층(Tra

andcomputer.tistory.com

 

L5 프로토콜

1. NetBIOS(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입출력을 정의한 규약

    - IBM의 PC-Networks, Microsoft사의 MS-Networks LAN 매니저 등에서 사용

 

2. RPC(Remote Procedure Call)

    -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다른 컴퓨터에 있는 절차를 직접 불러내는 기능을 하는 프로토콜

 

3. Winsock(Windows socket)

    - 윈도우 프로그램이 TCP/IP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간편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L6 프로토콜

1. SSL(Secure Sockers Layer)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통신 보안을 제공하는 암호 프로토콜

 

2.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문자, 숫자, 구두점 및 기타 일부 특수 문자에 수치를 부여하는 부호 체계

 

L7 프로토콜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WWW(World Wide Web)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문서를 주고 받는 데에 사용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

    - 평문으로 통신

    - HTTP 인터넷 주소는 'http://'로 시작

    - 80번 포트 사용

 

2.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를 SSL로 암호화 한 프로토콜

    - HTTPS 인터넷 주소는 'https://'로 시작

    - 443번 포트 사용

 

3. DNS(Domain Name System)

    -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상호 교환하는 프로토콜

    - 53번 포트 사용

 

4.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제어 채널: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 받는 채널로, 21번 포트 사용.

    - 데이터 채널: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로, 20번 포트 사용.

    - 능동모드(Active Mode): 데이터 전송에 20번 포트, 신호 제어에 21번 포트 사용하는 기본 방식

    - 수동모드(Passive Mode): 20번 포트가 아닌 다른 임의의 포트로 할당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

 

5.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 송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 발신자가 메일 서버에 메일을 보낼 때, 그리고 메일 서버에서 상대 메일 서버로 보낼 때 사용

    - TCP 25번 포트 사용

 

6.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수신자(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올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수신자가 수신한 메일은 메일 서버에 남기지 않고 삭제함

    - TCP 110번 포트 사용

 

7.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수신자(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올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수신자가 수신 완료한 메일을 메일 서버에 남겨둠

    - TCP 143번 포트 사용

 

8. Telnet

    - 원격지의 컴퓨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으로 교환되어 도중에 도청될 수 있는 문제 있음

    - 보안문제로 사용이 감소하고 있으며, SSH로 대체되기도 함

    - 기본적으로 TCP 23번 포트 사용

 

9. SSH(Secure Shell)

    - 원격지의 컴퓨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 Telnet에 암호화와 공개키 인증, 메시지 인증 등의 기능을 추가해 업그레이드 한 것

    - TCP 22번 포트 사용